발목 인대 늘어났을 때 증상 및 치료방법과 회복기간
평평하지 않은 바닥을 걷거나 계단을 내려오다가 발을 헛디뎌 발목이 삐거나 접질렸던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당장 병원까지 갈 일은 아닌 것 같지만 통증이 쉽게 가라앉지 않아 힘들었던 경험이 저도 있습니다. 오늘은 발목 인대가 늘어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치료방법 및 기간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목 인대 파열이란?
'발목이 삐었어요', '발목을 접질렸어요' 흔히들 이렇게 이야기하는데요. 발목 관절의 뼈와 뼈를 연결해 주는 인대가 손상되어서 늘어나거나 끊어진 상태를 의학적 용어로 '발목 인대 파열' 또는 '발목염좌'라고 합니다. 심하지 않을 경우는 며칠이 지나면서 통증이 사라지는 것 같기 때문에 '이제 괜찮구나'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미 파열되거나 손상된 부분이 자연치유 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치료시기를 놓치거나 충분한 회복기간을 거치지 않게 되면 '만성 발목 불안정증'으로까지 갈 수 있고 이렇게 되면 같은 부위를 계속해서 삐게 되고 나중에는 관절에 무리가 가서 발목연골까지 다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발목 인대 파열의 증상
발목 인대 파열은 증상과 상태에 따라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단계 미세 파열 : 인대 섬유가 늘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아픈 부위를 눌렀을 때 약간의 통증과 부종이 있고, 하루 정도 지나고 나면 붓기가 없어지고 움직임에도 불편함이 없는 기능적 상실이 거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 2단계 부분 파열 : 인대의 일부가 파열된 상태로서 걷기가 힘들며 다친 부위가 경직이 되는 현상이 있을 수 있고, 발목이 부어오르고 멍이 드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인대 파열이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심해지지 않도록 다친 발목을 고정할 수 있다면 고정해 두는 게 좋습니다.
- 3단계 완전 파열 : 인대가 전부 파열된 상태로 부축을 받아서 일어나고 걸어야 할 정도로 발목을 심하게 다친 상태이고, 발목 전체에 부종과 심한 발목 통증이 있고, 인대가 끊어지는 파열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열된 인대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수술을 진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발목을 삐거나 접질렸을 때 부종과 통증만으로는 인대 파열 정도를 구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정확한 검사를 통해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3. 발목 인대 파열 치료
- 병원에 도착하기 전 시행할 수 있는 응급대처 방법
첫 번째 휴식 : 다친 곳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편안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여야 합니다. 부상당한 발목을 무리하게 계속 쓰게 되면 자극을 주게 되어 상태가 악화되니 꼭 움직여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발목에 가해지는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서 목발이나 지팡이 또는 주위에 몸을 지탱할 수 있는 물건을 잡고 움직이도록 해야 합니다.
두 번째 냉찜질 : 급성 외상으로 인한 부기나 멍을 가라앉도록 하는 데는 냉찜질이 효과가 있습니다. 냉찜질을 하게 되면 혈관 수축을 촉진시켜서 출혈과 붓기를 조절하여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아줄 수 있습니다. 집에 얼려둔 얼음이나 아이스팩을 이용하고, 1회에 15분 이상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얼음찜질이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니 48시간 후에는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서 냉찜질이 필요한지 온찜질이 필요한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세 번째 압박 : 부상 부위를 붕대로 압박함으로 붓기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급한 상황인데 붕대가 없을 때는 손수건이나 천 등을 이용하여 압박하면 됩니다. 하지만 너무 심하게 조이게 되면 혈액순환에 문제가 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네 번째 높이기 : 베개 또는 이불을 이용하여서 심장보다 높이 다친 발목을 올린 자세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심장보다 높아지면 혈관의 압력을 떨어뜨려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어 부기가 가라앉는 것을 도와줍니다. 하지만 너무 오래 올리고 있을 경우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니 그럴 때는 잠시 내렸다가 다시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 비수술적 치료
냉찜질 및 압박, 고정, 보조기, 목발 사용 등이 있습니다. 이 치료는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염좌로 인한 붓기를 가라앉혀 줄 수 있고, 보조기나 깁스 같은 경우는 발목 안정에 도움을 주며, 이후에는 체외 충격파, 주사치료 등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치료 또한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염좌로 인한 붓기를 가라앉혀 줄 수 있습니다. 근력운동 및 균형잡기 훈련도 진행하게 됩니다.
- 수술적 치료
만약 비수술적 치료방법으로 도움을 받지 못하였거나, 인대가 파열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한번 삐끗하거나 접질린 발목은 이미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또다시 삐끗하거나 접질리기가 쉽습니다. 그래서 적절한 응급치료와 함께 꼭 병원을 내원하셔서 정확한 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일상생활에도 약해진 발목을 강화하기 위해 뼈와 인대에 좋은 음식을 챙겨 먹거나 발목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을 한다면 약해진 발목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뒷골이 땡기는 증상 이유와 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1.02.27 |
---|---|
손이 덜덜 떨리는 수전증의 원인 치료 방법 (0) | 2021.02.23 |
노안수술 부작용 정리 (0) | 2021.02.16 |
댓글